WHO 산하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표한 

"소시지 등 가공육·붉은 고기, 암 유발 가능성"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면서 전세계가 떠들썩합니다. 


"그럼 지금까지 먹어왔던 소시지나 베이컨 그리고 소고기 돼지고기가

발암물질이었단 말인가!" 


사실 우리나라는 육가공품 소비가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5분의 1도 안되기

때문에 그렇게 심각한 상황은 아닙니다만 주식이 육가공인 나라는 

말도 안된다는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연세대 의료원 조홍근 닥터가 운영하는 '알기 쉬운 당뇨병 심장병 이야기' 블로그에 

"가공육은 담배 만큼 위험한 발암물질인가?" 라는 포스팅이 올라와 링크

걸어 봅니다.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져 다칠 수 있다. 그렇지만 아주 심하게 다치지 

않는다. 차에 받혀도 다친다. 둘 다 다친다는 것은 맞다. 그러나 그 심각함은 너무나 다르다. 

그러나 바나나 껍질과 차는 둘 다 상해의 위험이 있는 등급에 들어갑니다. 이런 비유입니다. 

차는 담배이고, 바나나 껄집은 가공육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는 20대 후반에 친환경 축사 방식에 꼿혀 전남 함평으로 

내려와 돼지를 키우는 것부터 도축 가공 유통 하는 모든 과정을 

실제 현장에서 3년간 온몸 어택으로 겪어 보면서 육가공품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을 조금 더 넣고 덜 넣고가 

아니라 얼마나 신선하고 질 좋은 원료육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퀄리티 차이가 많이 난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실버스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뉴스팩트: JTBC 보도 내용 중






얼마전까지 왕성한 활동력을 보여준 이영돈 PD가 MSG를 주제로 

시청률팔이 할 때 오히려 잘됐다 싶었습니다. 

그렇게 여기저기 떠들면서 MSG를 공론화 시켜줘야

상식적으로나 과학적으로 근거도 없는 이야기에 반론이 나올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막연히 MSG에 가지고 있던 공포를 제대로 알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었습니다. 


아니다 다를까 이영돈PD가 방송에서 퇴장하자마자 쉐프나 요리 

프로에서 MSG 나 설탕 등 어쩌면 지금껏 방송에서 금기시 되어 온 

이야기들이 스스럼 없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육가공품 발암물질 논란도 비슷하게 흘러갈거라 예상합니다. 

단 몇일만에 여기저기서 반론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한국일보에서도 관련 기사가 나왔네요. "소시지=발암물질? 당신이 알아야 할 4가지"


고광석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공기 중 미세먼지도 1군에 속하지만 일상적인 활동을 하지 않느냐"며 “발암 가능성이 증명됐다고 해서 모두 암에 걸리는 게 아니라 섭취 양과 횟수가 중요하므로 적당한 수준의 섭취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WHO에서 논문이 나오기 몇일 전에 페북 타임라인에 공유가 많이 됐던 usa today 기사입니다.
"1800년대에 태어나 1900년대를 살고 2015년 현재를 살아가는 
현존 최장수 할머니의 건강비결이 매일 가공육인 베이컨을 먹는 것이랍니다." 






소시지나 베이컨이 정말 위험한 음식이라면  

1800년대 태어나 현재를 살고 있는 이 할머니께 가서... 


"할머니! 베이컨을 매일매일 드시는 건 건강에 매우 위험해요. 

그러니 이제부터 베이컨을 드시지 마세요!"


,

평소 즐겨보는 분의 칼럼입니다. 식품에 관한 방대한 지식과 날카로운 시선이 

먹거리를 다루는 입장에서 많은 걸 판단하고 생각하게 해줍니다. 

식품이나 첨가물을 단순히 개인적 체험담이나 감각에 의존해서 

어떻다라고 하는게 아니라 확실한 논리와 정확한 팩트를 기반으로 설명을 

하기 때문에 상식을 가진이라면 누구나 수긍할 만합니다. 



-

[최낙언의 진짜 첨가물 이야기] 61. 지금 첨가물의 문제는 ‘소통’의 문제이다

 

"우리만큼 식품을 통해 건강문제를 해결하기를 기대하는 나라도 없고, 인터넷 감시망이 발달한 나라도 없고, 열혈 소비자단체도 없다. 더구나 나라가 좁아서 선진국 등 큰 나라에서는 1주일치 먹을거리를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먹는데 우리는 바로 집 앞에 신선한 먹을거리가 버젓이 나와 있으며 식당이 넘쳐난다. 세상에서 가장 좋은 식품환경에서 식품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사람이 80%에 이르는 것은 소비자를 안심시킬 식품회사의 위험 소통력이 부족한 이유가 크다."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109

 


,


페이스북에서 좀 놀라운 기사를 읽게 되었습니다. 


뉴욕 사무실에서 사무직을 보는 사람과  아침부터 저녁까지 사냥을 

하러 다니는 아프리카 부족의 사람과 칼로리를 사용하는 양은 비슷

하다고 합니다. 


결국 칼로리 계산은 그 자체도 어렵고, 정확하기도 어려우며, 설령 정확하다 

하더라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다르기 때문에 별 의미 없는 

노력일 뿐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의 몸은 내 머리로 덧셈 뺄셈을 계산한 

것처럼 단순하게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죠.  




-

 생명 그 자체를 유지하는데 에너지의 70%가 사용한다

 하루 1시간의 운동은 기초대사량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사무실에서 일하는 현대식 라이프스타일과 원시적 수렵채취생활의 에너지 
소비량은 같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헌터 칼리지와 스탠퍼드 
대학 및 애리조나 대학의 공동연구팀은 아프리카의 탄자니아 북부 지방에서 
수렵채집 방식으로 생활하는 하드자 부족의 일상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해 봤다. 
이들은 매일 야생의 동식물 먹을거리를 찾아 먼 거리를 걷는 전통 생활방식을 
지금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놀랍게도 미국과 유럽의 사무실에 근무하는 이들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이끈 헌터 칼리지의 헤르만 폰처 교수는 “옛 선조들의 

생활 방식은 에너지 소비량이 더 많을 것이라는 오랜 통념을 뒤집는 결과”라면서

 “현대인의 비만은 활동량이 아니라 음식 섭취량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우리는 지난 50년간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양을 먹어왔다는 것이다.


그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라이프스타일은 다양하더라도 에너지 소비 수치는

 비슷하다는 것은 신체의 에너지 소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육체적 활동에 에너지를 더 많이 쓰면 뇌활동, 소화 등에 에너지를 덜 쓰게 돼서 

균형을 맞추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운동이 건강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강조했다. 하드자 부족은 서구인들에 비해 매일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신체활동에 소모하는데, 덕분에 고령층에서 심장병 등 만성 질환에 덜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저널인 ‘플로스 원(PLoS ONE)’에 실렸으며 영국 일간 텔리그래프 등이 2012.7.25일 보도했다.





,


주소: 광주 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713-8번지 | 상호명: 실버스푼 | Tel. 010-9697-5420
사업자등록번호: 105-09-59172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광산 제2011-176호 | 대표: 김태진
개인정보보호담당자: 정혜원
  실버스푼 페이스북 페이지
E-mail. one280@hanmail.net
계좌번호. 하나은행 841-910057-14107 김태진

Copyright ⓒ 2010 sliverspoon All rights Reserved.